먹거리

프로바이오틱스 비교

기쁜맘09 2018. 5. 3. 09:01


장내미생물을 유익균이 많게 잘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장내미생물이 좋아하는 먹이인 식이섬유섭취를 많이 해야하고, 신생아는 반드시 모유!!! 

그리고 화학물질들이 가득한 가공식품,건강식품, 화학약품등을 가능하면 멀리해야하며 

항생제는 꼭!꼭! 필요한 경우 아니면 피해야 한다.

또 유익균인 프로바이오틱스제품을 먹어야 하는데 시중에 너무나 많은 

제품들이 있어 뭘 골라야 할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보면,


프로바이오틱스시장 초창기엔 업체들끼리 보장균수경쟁을 하다 

장까지 살아남기 위해 코팅을 하고 다음은 균의 종류가 17종이냐 18종이냐의 

균종수로 넘어가고 지금은 냉장배송등등...이것도 유행을 타는 듯 하다--; 


균수의 관점에서 현재 식약처에서는 100억마리로 제한을 둬 성인제품은 100억마리를 기준으로 보면 된다.

코팅 또한 여러 업체에서 적용하고 있으니 코팅된 제품들 중 고르면 되고

균수의 경우 한정된 공간에 여러균이 조금씩 있는게 좋으냐 

핵심균주만 많이 있는게 좋으냐의 문제인데 모든 프로바이오틱스들이 각각의 역할이 있으므로 

여러균이 모두 많이 있으면 좋겠지만 그럴수가 없으니 6개월~1년정도 한 업체꺼 먹다 바꾸는것도 방법이 아닐까.


​(유산균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함께 섭취하면 유산균 수가 더 많이 증가한다)


또 신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와 그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를 같이 함유시킨 것인데

연구논문자료를 보면 프리바이오틱스를 같이 섭취할 때 장도달이나 정착율이 높다고 나와

기왕이면 신바이오틱스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균이다보니 온도에 민감해 기왕이면 냉장배송시스템이 되어 있는 곳이 더 낫다.




마지막으로 완제품을 만드는데 생산성이나 맛을 내기위해 화학물질이 들어가는데

찾아보면 화학성분이 없는 것들도 있으니 제품의 원재료 및 함량을 확인해서 

각종 착향료나 이산화규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없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해하기 쉽게 이 기준으로 몇 가지 제품을 비교해보면



시중의 몇가지 유명한 제품들을 비교했더니 프로스랩정도가 괜찮아보이는데 

이렇게 비교표를 만들어 제품들을 찾아보면 좋은 제품을 고를 수 있다. 

귀찮다고 적당히 고르지 말고 조금만 투자해서 찾아보면 우리가족 건강에

조금이라도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글에서도 말했듯이 내가 알아야지 누가 책임져주지 않으니까...


'똑바로 살자'의 블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