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모든 자료를 참고하세요. 문제를 풀다가 막히면 ‘전화 찬스’를 써도 좋습니다.
지난 17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 ERICA 캠퍼스. 경영학부 ‘조직행동론’ 중간고사가 치러지는 한 강의실. 이 과목을 가르치는 전상길 한양대 ERICA 캠퍼스 경영학부 교수가 학생들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학생 책상 위에는 사전과 노트북 컴퓨터, 그리고 손글씨가 빼곡한 ‘커닝 페이퍼’가 올려져 있다. 학생들은 답안지를 쓰다가 옆자리 학생과 토론하기도 하고 시험 도중에 전문가에게 전화를 걸어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한양대(ERICA) 경영학부 전상길 교수가 강의를 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전 교수는 “시험 때는 학생마다 커닝페이퍼를 쓰게 하고 답안지와 함께 제출하게 하고 있다. 커닝 페이퍼를 내지 않으면 낙제점을 준다. 외우지 말고 창조적 생각에 머리를 쓰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17개 대학 32명 '강의왕'에게 물어보니…
한 수업당 매주 4.8시간 준비, 3.7시간 학생 상담
학생 예습용 동영상 직접 찍는 송지희 서울시립대 교수
학생 과제에 '파란펜 첨삭' 해주는 한혜원 이대 교수
수업 전 '리허설'하는 김보경 연세대 교수
시험이 끝나면 전 교수는 학생들이 제출한 ‘커닝 페이퍼’와 답안지를 보며 학생들이 어떻게 문제를 풀었는지, 잘못 이해한 부분은 없는지 살핀다. 채점 후에는 답안에 대해 학생에게 상담한다. 이 강의는 학생들의 출석률이 100%에 가깝다. 매해 강의평가에서 학생들로부터 ‘우수’를 받는다.
중앙일보는 창간 52주년을 맞아 ‘2017 대학평가’를 하면서 종합평가에서 상위에 든 대학들에 ‘강의 잘하는 교수’를 추천받았다. 그리고 17개 대학의 인문·사회계 교수 16명, 자연·공학·의학계 교수 16명을 이른바 ‘강의왕’으로 선정했다. 전 교수도 이 중 하나다. 이들은 학생들의 강의평가 점수가 우수하고 새로운 강의법을 시도한다는 점이 공통적이었다.
이들은 ‘준비의 왕’이기도 했다. 한 강의를 준비하는 데 평균 4.8시간을 투자하고 있었다. 길게는 한 강의 준비에 10시간을 쓰는 교수도 있었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도 ‘강의왕’에 포함됐다. 그는 ‘교육개혁의 이론과 실제’ 강의를 하는데 다양한 국가의 수업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수업 한 학기 전부터 학내 외국인 학생들을 미리 섭외한다. 배 교수는 “각국 학생이 자기 나라 교육 제도에 대해 설명한다. JTBC 예능 프로그램인 ‘비정상회담’ 같은 분위기가 된다”고 설명했다.
송지희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학생이 한 학기 수업을 예습할 수 있도록 강의 동영상을 제작한다. 동영상은 30여 개인데 송 교수가 직접 찍는다. 영상은 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는 “경영학 분야, 특히 마케팅 분야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야 해 3학기에 한번은 모두 새로 찍는다. 최근 신문기사와 경제 월간지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수시로 퀴즈도 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