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되는 정보들

2017년 강의왕 교수

기쁜맘09 2017. 10. 27. 07:42




지난 17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 ERICA 캠퍼스. 경영학부 ‘조직행동론’ 중간고사가 치러지는 한 강의실. 이 과목을 가르치는 전상길 한양대 ERICA 캠퍼스 경영학부 교수가 학생들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학생 책상 위에는 사전과 노트북 컴퓨터, 그리고 손글씨가 빼곡한 ‘커닝 페이퍼’가 올려져 있다. 학생들은 답안지를 쓰다가 옆자리 학생과 토론하기도 하고 시험 도중에 전문가에게 전화를 걸어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전 교수는 “시험 때는 학생마다 커닝페이퍼를 쓰게 하고 답안지와 함께 제출하게 하고 있다. 커닝 페이퍼를 내지 않으면 낙제점을 준다. 외우지 말고 창조적 생각에 머리를 쓰라는 취지라고 했다.
시험이 끝나면 전 교수는 학생들이 제출한 ‘커닝 페이퍼’와 답안지를 보며 학생들이 어떻게 문제를 풀었는지, 잘못 이해한 부분은 없는지 살핀다. 채점 후에는 답안에 대해 학생에게 상담한다. 이 강의는 학생들의 출석률이 100%에 가깝다. 매해 강의평가에서 학생들로부터 ‘우수’를 받는다. 
 
중앙일보는 창간 52주년을 맞아 ‘2017 대학평가’를 하면서 종합평가에서 상위에 든 대학들에 ‘강의 잘하는 교수’를 추천받았다. 그리고 17개 대학의 인문·사회계 교수 16명, 자연·공학·의학계 교수 16명을 이른바 ‘강의왕’으로 선정했다. 전 교수도 이 중 하나다. 이들은 학생들의 강의평가 점수가 우수하고 새로운 강의법을 시도한다는 점이 공통적이었다.  

[대학평가]'커닝 페이퍼' 권하는 교수, 모내기하라는 교수

                


                   


 

지난 17일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ERICA) 경영학부 학생들이 전상길 교수의 ‘조직행동론 ’ 시험 도중 토론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모든 자료를 참고하세요. 문제를 풀다가 막히면 ‘전화 찬스’를 써도 좋습니다.

지난 17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 ERICA 캠퍼스. 경영학부 ‘조직행동론’ 중간고사가 치러지는 한 강의실. 이 과목을 가르치는 전상길 한양대 ERICA 캠퍼스 경영학부 교수가 학생들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학생 책상 위에는 사전과 노트북 컴퓨터, 그리고 손글씨가 빼곡한 ‘커닝 페이퍼’가 올려져 있다. 학생들은 답안지를 쓰다가 옆자리 학생과 토론하기도 하고 시험 도중에 전문가에게 전화를 걸어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한양대(ERICA) 경영학부 전상길 교수가 강의를 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한양대(ERICA) 경영학부 전상길 교수가 강의를 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전 교수는 “시험 때는 학생마다 커닝페이퍼를 쓰게 하고 답안지와 함께 제출하게 하고 있다. 커닝 페이퍼를 내지 않으면 낙제점을 준다. 외우지 말고 창조적 생각에 머리를 쓰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17개 대학 32명 '강의왕'에게 물어보니…
한 수업당 매주 4.8시간 준비, 3.7시간 학생 상담
학생 예습용 동영상 직접 찍는 송지희 서울시립대 교수
학생 과제에 '파란펜 첨삭' 해주는 한혜원 이대 교수
수업 전 '리허설'하는 김보경 연세대 교수

 
시험이 끝나면 전 교수는 학생들이 제출한 ‘커닝 페이퍼’와 답안지를 보며 학생들이 어떻게 문제를 풀었는지, 잘못 이해한 부분은 없는지 살핀다. 채점 후에는 답안에 대해 학생에게 상담한다. 이 강의는 학생들의 출석률이 100%에 가깝다. 매해 강의평가에서 학생들로부터 ‘우수’를 받는다. 
 
중앙일보는 창간 52주년을 맞아 ‘2017 대학평가’를 하면서 종합평가에서 상위에 든 대학들에 ‘강의 잘하는 교수’를 추천받았다. 그리고 17개 대학의 인문·사회계 교수 16명, 자연·공학·의학계 교수 16명을 이른바 ‘강의왕’으로 선정했다. 전 교수도 이 중 하나다. 이들은 학생들의 강의평가 점수가 우수하고 새로운 강의법을 시도한다는 점이 공통적이었다.  

 
이들은 ‘준비의 왕’이기도 했다. 한 강의를 준비하는 데 평균 4.8시간을 투자하고 있었다. 길게는 한 강의 준비에 10시간을 쓰는 교수도 있었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도 ‘강의왕’에 포함됐다. 그는 ‘교육개혁의 이론과 실제’ 강의를 하는데 다양한 국가의 수업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수업 한 학기 전부터 학내 외국인 학생들을 미리 섭외한다. 배 교수는 “각국 학생이 자기 나라 교육 제도에 대해 설명한다. JTBC 예능 프로그램인 ‘비정상회담’ 같은 분위기가 된다”고 설명했다.
 
송지희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학생이 한 학기 수업을 예습할 수 있도록 강의 동영상을 제작한다. 동영상은 30여 개인데 송 교수가 직접 찍는다. 영상은 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는 “경영학 분야, 특히 마케팅 분야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야 해 3학기에 한번은 모두 새로 찍는다. 최근 신문기사와 경제 월간지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수시로 퀴즈도 낸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의왕들은 수업을 잘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도 배려한다. 박석홍 동국대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학생들이 처음 접하는 내용은 이해도가 학생마다 다르다.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수업 후반부에는 30분 가량 질문을 받는다”고 말했다. 신동화 한국외대 수학과 교수는 “지난 강의 때 학생들이 어려워했던 부분은 다음 학기에는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고민한다”고 말했다.
 
강의왕은 학생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학생들이 발표·토론에 나서게 독려하고, 일대일 면담을 하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해 학생과 수시로 소통한다. 
 
김도식 건국대 철학과 교수의 ‘철학의 이해’는 학생들의 수강 신청 경쟁이 치열하다. 김 교수는 신입생에게 “안녕, 난 철학과 도식이야. 친하게 지내”라는 휴대전화 문자를 보낼 정도로 학생과 가깝다. 그는 일주일에 10시간 이상 학생들과 대화한다. 학생들이 일상적 고민도 ‘카톡’으로
풀어준다. 
 
한혜원 이화여대 융합콘텐츠학과 교수는 학기가 시작되면 파란 펜을 세 자루를 산다. 학생들의 과제에 손글씨로 답변을 달아주기 위해서다. 10년째 이어온 ‘파란 펜 첨삭’은 한 교수에겐 학생과의 대화나 다름없다. 그런데 왜 하필 파란색일까. 한 교수는 “빨간 펜은 학생들에게 권위적인 느낌을 줄 것 같다. 학생과 조근조근 대화하는 느낌이 들도록 파란색을 쓴다. 과제 하나에 답을 다는 데 40~50분쯤 걸린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대학평가]'커닝 페이퍼' 권하는 교수, 모내기하라는 교수